WEKO3
アイテム
朝鮮陶磁器をめぐる近代の二つの視点 : 柳宗悦と奥田誠一の見解を比較して
http://hdl.handle.net/10112/9906
http://hdl.handle.net/10112/99061cd2cddc-317b-4d28-9f36-6652a201f53f
名前 / ファイル | ライセンス | アクション |
---|---|---|
![]() |
|
Item type | 紀要論文 / Departmental Bulletin Paper(1) | |||||
---|---|---|---|---|---|---|
公開日 | 2016-04-11 | |||||
タイトル | ||||||
タイトル | 朝鮮陶磁器をめぐる近代の二つの視点 : 柳宗悦と奥田誠一の見解を比較して | |||||
言語 | ||||||
言語 | jpn | |||||
資源タイプ | ||||||
資源タイプ識別子 | 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 | |||||
資源タイプ | departmental bulletin paper | |||||
その他のタイトル | ||||||
その他のタイトル | Two Perspectives on Korean Ceramics in the Modern Period Comparing Yanagi Muneyoshi and Okuda Seiichi | |||||
その他のタイトル | ||||||
その他のタイトル | 조선도자기에 대한 근대의 두개의 시선 ― 야나기 무네요시와 오쿠다 세이이치의 미의식 비교 ― | |||||
著者 |
裵, 洙淨
× 裵, 洙淨 |
|||||
著者別名 | ||||||
識別子Scheme | WEKO | |||||
識別子 | 30518 | |||||
姓名 | Bae, Sujung | |||||
著者別名 | ||||||
識別子Scheme | WEKO | |||||
識別子 | 30519 | |||||
姓名 | 배, 수정 | |||||
概要 | ||||||
内容記述タイプ | Other | |||||
内容記述 | Yanagi Muneyoshi (1889-1961) and Okuda Seiichi (1883-1955) embody two representative ideas on Japanese arts and crafts in modern times. Okuda and Saikoukai advocated a new method of appreciating ceramics based on Chinese ceramics. According to Okuda’s view, Korean ceramics are merely seen as an aid in understanding Japanese folk arts and crafts. Opposed to this view, Yanagi developed a new as yet untried theory. Yanagi insisted that the core of the aesthetic sense of Mingei (folk arts) can be found through “intuition”. We can define these two opposing perspectives of Okuda and Yanagi as “modern aesthetic sense” and “universal aesthetic sense”. 일본 근대화의 흐름속에서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1889~1961)와 오쿠다세이이치(奥田誠一,1883~1955)는 당시 일본 공예연구의 대표적인 두가지견해를 보여준다. 오쿠다와 채호회파는 중국도자기를 미의 기준으로 새로운 고도자 감상연구법을발 표 하 였 다 . 오 쿠 다 에 게 있 어 서 조 선 도 자 기 는 동 양 도 자 사 의 한 부 분 으 로 최 종 적 으 로 일 본 공 예 를 논 하 기 위 한 수 단 이 었 다 . 반 면 , 야 나 기 는 이 러 한 오쿠다의 견해에 의심을 가지고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민예론을 발표하였다 . 야나기는 직관에 의한 감상법을 통해 조선 도자기에서 민예의 핵심적 미의식을발견했다 . 근대일본에서 조선도자기에 대한 오쿠다와 야나기의두가지 시선은근대적 미의식과 탈근대적 미의식으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 |||||
内容記述 | ||||||
内容記述タイプ | Other | |||||
内容記述 | 東アジアの言語と表象 | |||||
書誌情報 |
文化交渉 : Journal of the Graduate School of East Asian Cultures : 東アジア文化研究科院生論集 巻 3, p. 75-96, 発行日 2014-09-30 |
|||||
ISSN | ||||||
収録物識別子タイプ | ISSN | |||||
収録物識別子 | 21874395 | |||||
書誌レコードID | ||||||
収録物識別子タイプ | NCID | |||||
収録物識別子 | AA12712795 | |||||
著者版フラグ | ||||||
出版タイプ | VoR | |||||
出版タイプResource | http://purl.org/coar/version/c_970fb48d4fbd8a85 | |||||
出版者 | ||||||
出版者 | 関西大学大学院東アジア文化研究科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柳宗悦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奥田誠一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民藝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工藝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朝鮮陶磁器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関西大学(Kansai University)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야나기 무네요시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오쿠다 세이이치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민예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공예 | |||||
キーワード | ||||||
主題Scheme | Other | |||||
主題 | 조선도자기 |